노비타 비데 버튼 고장 원인, 서비스센터 AS
많은 가정과 사업체 등에서 화장실에서의 깨끗한 마무리를 위해 비데를 설치하곤 합니다. 설치 후 초기 이용 시에는 별다른 이상이 없지만 조금 사용하다보면 고장 증세나 이상 증상이 나타나 당혹스럽기도 합니다. 이럴 때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 오늘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노비타 비데 버튼 고장 원인 및 해결 방법, 전국 서비스센터 AS 신청 방법까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노비타 비데 버튼 고장 원인 및 해결방법
1) LED 불이 모두 꺼져있을 때
비데 컨트롤러 버튼의 LED 불이 모두 꺼져있어 버튼이 눌리지 않는다면 화장실의 전원 자체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보도록 합니다. 코드에 헤어드라이어 등 다른 가전기기를 연결하여 실행시켜봅니다. 다른 기기가 동작 가능하다면 코드의 이상은 아니므로 30초 정도 비데 코드를 뺐다가 다시 꽂아 실행해보도록 합니다. 비데 코드를 뺐다가 다시 꽂으면 노즐이 이동하고, 전체 컨트롤러 LED가 점등하며 제품이 리셋됩니다.
2) LED 불만 들어왔을 때
이번에는 비데 컨트롤러 버튼 LED는 모두 켜져있지만 개별 버튼을 눌러도 아무런 작동을 하지 않을 때의 대처 방법입니다. 우선 절전, 탈취, 온풍, 변좌 등의 버튼을 하나씩 눌러보도록 합니다. 버튼을 눌렀을 때 LED 불이 함께 움직인다면 비데는 정상 작동 중이며 단, 피부감지센서(착좌센서) 감지가 되지 않아 기능이 실행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앉아서 다시 실행해보거나, 앉은 상황에서 시트의 오른쪽에 비데의 센서 위치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 센서를 3초 이상 손으로 덮어 길게 누른 뒤 버튼을 실행해보도록 합니다. 노비타 비데는 안전을 위해 피부감지 센서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 센서가 착좌를 감지했을 때에만 기능이 정상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3) 램프가 깜빡일 때
버튼 전체의 LED 등이 깜빡거리는 것은 물탱크 수위가 낮아졌음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탱크에 물이 다시 차면 램프의 깜빡임은 자연히 사라집니다. 기다려도 사라지지 않는다면 전원을 뺐다가 30초 후 다시 연결시켜 기기를 초기화하면 됩니다. 이 과정에서 수압램프가 깜빡이면 [세정] 버튼을 눌러 탱크에 물을 채울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도의 수압이 안정적인지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4) 온수, 변좌 버튼의 LED가 꺼졌을 때
다른 버튼의 램프는 문제 없이 불이 들어오지만 온수, 변좌 버튼과 같이 특정 버튼의 램프만 꺼져있고 불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기능이 잠겨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3초 이상 길게 누르면 온도 잠금이 해제됩니다. 버튼을 길게 누르기 어렵다면 이 경우에도 전원을 빼고 30초간 대기한 뒤 다시 연결시켜 리셋하면 되겠습니다.
노비타 비데 서비스센터 AS 신청
- 무상서비스 기간: 구입일로부터 1년
- AS 신청: 온라인 홈페이지 또는 고객상담센터(1588-6560)
노비타 비데는 구입 후 1년 동안 무상AS가 가능합니다. 단, 이 기간 동안에도 고객 부주의로 인한 고장이나 천재지변으로 인한 고장 등은 고객이 비용을 부담해야 합니다. AS신청은 노비타 홈페이지의 [CUSTOMER CENTER] – [AS신청] 메뉴에서 회원 또는 비회원으로 신청할 수 있고 전화로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접수할 수도 있습니다. 접수 후에는 담당 엔지니어가 방문하여 증상을 살펴보고 필요 시 수리까지 진행합니다.
전국의 노비타 비데 대리점 위치도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습니다. 상호명, 주소, 연락처, 지도상 위치까지 확인할 수 있으니 상품 구매나 부품 구입, 기타 문의사항이 있다면 이를 통해 가까운 대리점에 직접 연락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비데는 물기가 많고 습한 환경에 설치되며 물과 바람을 배출하는 생활가전이기 때문에 설치 후 관리가 중요합니다.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하고 작은 이상 증상이라도 느껴진다면 리셋해보거나 증사에 맞는 버튼을 눌러보고, 그래도 계속해서 문제가 이어진다면 서비스센터 AS를 문의하여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얻으시기 바랍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천만 습지 입장료, 할인, 스카이큐브 (0) | 2024.06.17 |
---|---|
맹견 사육허가제: 맹견종류, 허가 신청 (0) | 2024.05.26 |
초등학교 교과서 구입처, 구매 방법 (0) | 2023.02.27 |
백양터널 미납요금, 통행료 조회 (0) | 2022.10.17 |
오포인트 사용방법, 사용처 (0) | 2022.04.28 |